호남문화DB

호남문화DB

022 운조루 명당 중의 명당, 운조루 목록

문화원형 개요
운조루는 1776년(영조 52)에 당시 삼수부사를 지낸 류이주(柳爾胄)가 세운 99칸(현존 73칸)의 대규모 주택으로서, 조선시대 선비의 품격을 상징하는 품자형(品字形)의 배치 형식을 보이고 있는 양반가이다. 운조루라는 택호는 “구름 위를 나는 새가 사는 빼어난 집”이란 뜻이 담겨져 있는데, 본디 중국의 도연명(陶淵明)이 지은 <귀거래혜사(歸去來兮辭)>에서 따왔다고 한다. 운조루는 좌청룡 우백호의 산세와 함께 내수구(앞 도랑)와 외수구(섬진강)가 제대로 되어 있는 명당터에 자리 잡고 있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이 일대는 금귀몰니(金龜沒泥), 금환락지(金環落地), 오보교취(五寶交聚), 혹은 오봉귀소(五鳳歸巢)의 명당이 있는 곳이라고 하며, 이 집터에서 거북이의 형상을 한 돌이 출토되었기에 금귀몰니의 명당으로서 남한의 3대 길지로 알려져 있다. 운조루에는 바깥사랑채, 안사랑채, 아랫사랑채 등으로 각각 누마루가 있었으나, 지금은 아쉽게도 안사랑채와 아랫사랑채의 누마루는 남아 있지 않다. 현재 이 집은 건평 129평으로 一 자형 행랑채와 북동쪽의 사당채를 제외하고 T 자형의 사랑채와 ㄷ 자형의 안채, 안마당의 곳간채가 팔작지붕, 박공지붕, 모임지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를 보이고 있다.
기획의도
호남 지역 대표적인 명당 운조루가 지니고 있는 조선시대의 전통적 조형물로서의 다양한 가치를 창작 소재화하여 조선시대의 상류층이 풍수지리를 어떻게 받아들여 왔으며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를 밝힘으로써 조선시대 상류문화콘텐츠의 질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그 속에 담긴 양반의 일상을 흥미롭게 재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역사문화 리소스를 창출해 내고자 함
개발내용
  • 시나리오
    • 조선시대 상류층들의 삶과 문화라는 테마로 시나리오 제작
      • 구례 운조루를 통해서 조선시대의 주택의 모습, 즉 건축적인 면모를 재발견할 뿐만 아니라, 그 안에 살고 있던 상류층들의 삶과 문화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시나리오화
      • 사랑채는 남성의 공간으로서 그 집안의 가장들이 거하는 곳. 각 상류층 집안의 가장들과의 만남과 토론 공간. 토론의 장이 펼쳐지는 사랑채에서 일어나는 문화 교류 시나리오화
      • 정원문화는 조선시대의 상류층의 문화를 잘 보여주는 곳. 수목 밑이나 기단, 담 가장자리에 치석이나 괴석을 심어두고 즐기거나 시원한 그늘에서 휴식을 하거나 차를 마시면서 담소를 즐기거나 토론을 하는 공간으로 활용하였기에 이를 통해 상류층 문화를 살펴 시나리오화
  • 3D 디지털 세트
    • 당시 운조루의 모습을 『장자구처기(長子區處記)』의 기록과 1922년에 제작된 전라 구례 오미동 가도를 통해 주변 경관과 환경 등을 포함하여 최대한 본래의 모습으로 디지털 복원
    • 사이버상에서 운조루의 건축물을 하나씩 배치하면서 조선시대 상류계층의 주택을 익힐 수 있는 가상 체험물 제작
    • 사이버상에서 각자가 풍수지리 명당 만들기, 정원 만들기를 체험함으로써 조선시대의 풍수지리와 정원문화를 체험
  • 캐릭터(2D 그래픽)
    • 운조루를 둘러싼 풍수지리와 그 안의 삶을 만화로 만들 때 필요한 캐릭터(류이주, 오미동 사람들) 제작. 당대의 복식을 철저한 고증을 통해 제작
활용방안
  • 한국 목조 건축 안에서의 상류층 주택의 종류와 구성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운조루의 도면, 사진 이미지 제공
  • 운조루의 사랑채, 누마루, 정원, 당대의 풍수지리 사상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운조루 구조부 조립 체험과 풍수지리 명당과 정원 만들기를 체험함으로써 전통문화자원의 에듀테인먼트화를 시도
  • 엔터테인먼트 사업에 조선시대 상류계층에 대한 기본 소재로 제공